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타입스크립트
- 백그라운드 실행
- 기본 타입
- 프디아
- 다양한 기능
- 웹 스크래핑
- scss
- eslint
- 웹 기초
- 서버 통신
- Flask 오류
- jwt
- 웹
- 신한투자증권
- 정적 타입
- HTTP
- 동적 타입
- prettier
- gatsby.js
- 웹 렌더링
- Boxmodel
- 웹 클라이언트
- 예외 클래스
- 세션
- 프로디지털아카데미
- 자바
- Visual Studio Code
- 비동기기술
- CORS
- 쿠키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4)
Moon Blog
클래스 자바 프로그램에서는 클래스를 만들고 그 안에 변수, 상수, 메소드(함수) 등 모든 프로그램 요소를 작성한다. 클래스의 구성은 "접근지정자 + class + {필드 & 메소드 코드}" 로 작성한다. public class Test { 변수; 메소드; } - 접근지정자 : public - 접근 제한이 없고, 코드 전체에 접근이 가능함 protected - 동일 패키지와 상속 받은 클래스 내부에서 사용이 가능함 private - 동일 클래스 내에서만 사용 가능함 default - 동일 패키지 내에서만 사용 가능함 메소드 자바에서는 클래스의 멤버 함수를 메소드라고 한다. 개수의 제한 없이 원하는 이름으로 메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반디스 main()메소드에서 실행을 해야..
CSR과 SSR CSR(Client Side Rendering) 최초 요청 시에 HTML, CSS, Javascript 등 리소스를 받아온 후 서버에 데이터만 요청하고 자바스크립트로 랜더링을 한다. 필요에 따라서 데이터를 서버에 요청해서 받아와 랜더링을 하기도 한다. SSR(Server Side Rendering) 완전하게 만들어진 HTML 파일을 받아오고 랜더링을 한다. 웹서버에 요청할 때마다 브라우저가 새로고침 되고 서버에 새로운 페이지에 대한 요청을 하는 방식이다. CSR SSR 초기로딩속도 모든 JS 파일을 다운 받아와야 하기 때문에, 초기에는 오래 걸림 CSR에 비해 다운 받는 파일이 많지가 않아 속도가 빠름 서버 부담 data 요청이 있을 때만 서버에 요청 하기 때문에 서버에 부담이 적음 서버..
Typescript Typescript는 Javascript에 정적 타입 문법을 추가한 프로그래밍 언어라 보면 된다. -특징 1) 컴파일 언어이며 정적 타입 언어 타입스크립트는 정적 타입의 컴파일 언어이며 타입스크립트 컴파일러 또는 바벨(Babel)을 통해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변환된다. 코드 작성 단계에서 타입을 체크해 오류를 확인할 수 있고 미리 타입을 결정하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코드 작성 시 매번 타입을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코드량이 증가하며 컴파일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2) 자바스크립트 슈퍼셋 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의 슈퍼셋, 즉 자바스크립트 기본 문법에 타입스크립트의 문법을 추가한 언어이다. 따라서 유효한 자바스크립트로 작성한 코드는..

• Float 원래 웹페이지에서 이미지를 어떻게 띄워서 텍스트와 함께 배치할 것인가에 대한 속성이다. 현재는 웹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작성할 때 자주 사용한다. -float 속성값 left — 왼쪽에 부유하는 블록 박스를 생성함 right — 오른쪽에 부유하는 블록 박스를 생성함 none — 요소를 부유시키지 않음 inherit — 부유 속성의 값이 요소의 부모 요소에서 상속됨 float 속성은 기본적으로 block element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Ex) , , , , float 속성을 사용하면 주변으로 컨텐츠가 흐르듯이 배치가 되는데, 이를 해제하기 위해 clear 속성을 사용한다. -clear 속성 값 none — 기본 값 left — float: left 속성을 해제 right — float: ..
HTTP란 무엇인가?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al의 약자로 웹 상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HTTP 1.1 / 2.0 HTTP 1.1 : 연결당 하나의 요청과 응답을 처리함 -> 동시전송 문제와 다수의 리소스 처리 속도 느림 -> 성능 문제가 있음 응답도 느리고 속도도 느리고 용량도 크고 성능도 안 좋은 프로토콜이다. HTTP 2.0 : HTTP 1.1의 문제점을 해결한 업그레이된 프로토콜이다. 한 커넥션에서 여러 개의 메시지를 동시에 요청 응답 처리함, 문서상에 필요한 리소스를 클라이언트 요청 없이 보내줄 수 있음, Header 정보 압축 전송 등 여러 가지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속도와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다. 상태 코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