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쿠키
- 타입스크립트
- 웹 스크래핑
- jwt
- 프디아
- prettier
- 웹
- eslint
- 신한투자증권
- 세션
- 웹 클라이언트
- 동적 타입
- HTTP
- 프로디지털아카데미
- Visual Studio Code
- CORS
- Boxmodel
- 서버 통신
- 정적 타입
- 비동기기술
- 다양한 기능
- Flask 오류
- 웹 기초
- 예외 클래스
- gatsby.js
- 백그라운드 실행
- 웹 렌더링
- 자바
- 기본 타입
- scss
- Today
- Total
목록HTTP (2)
Moon Blog
인코딩 컴퓨터의 모든 데이터는 0과 1로 구성되어 있음 우리가 원하는 결과를 컴퓨터에 출력하고 저장하기 위해서는 0과 1로 전환이 필요하고 이 과정을 인코딩이라 함 Ex) ASCII, Unicode 컴퓨터 개발 초기 각 문자권마다 다른 인코딩을 사용하여 국제 소프트웨어 개발에 어려움이 있었음 이런 인코딩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Unicode가 개발됨 통신 프로토콜 우리가 네이버 같은 웹 사이트를 들어가는 과정에서 또는 전화를 하는 과정에서 통신 프로토콜을 경험할 수 있음 웹 서버에서 우리(클라이언트)가 어떤 자료(리소스)를 요청하면 서버는 이를 이해하고 요청에 맞는 응답을 함 즉, 클라이언트는 요청(Request)을 서버는 응답(Response)을 함으로써 우리가 원하는 자료를 얻을 수 있음 프로토콜(..
HTTP란 무엇인가?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al의 약자로 웹 상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HTTP 1.1 / 2.0 HTTP 1.1 : 연결당 하나의 요청과 응답을 처리함 -> 동시전송 문제와 다수의 리소스 처리 속도 느림 -> 성능 문제가 있음 응답도 느리고 속도도 느리고 용량도 크고 성능도 안 좋은 프로토콜이다. HTTP 2.0 : HTTP 1.1의 문제점을 해결한 업그레이된 프로토콜이다. 한 커넥션에서 여러 개의 메시지를 동시에 요청 응답 처리함, 문서상에 필요한 리소스를 클라이언트 요청 없이 보내줄 수 있음, Header 정보 압축 전송 등 여러 가지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속도와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다. 상태 코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