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프디아
- HTTP
- 신한투자증권
- 타입스크립트
- 서버 통신
- 세션
- scss
- jwt
- 웹 클라이언트
- 쿠키
- 정적 타입
- CORS
- 기본 타입
- 다양한 기능
- Visual Studio Code
- Flask 오류
- 웹 스크래핑
- Boxmodel
- 웹 렌더링
- gatsby.js
- 웹
- 비동기기술
- 백그라운드 실행
- 프로디지털아카데미
- 웹 기초
- 동적 타입
- 예외 클래스
- prettier
- eslint
- 자바
- Today
- Total
목록세션 (2)
Moon Blog
쿠키 HTTP 프로토콜의 Connectionless와 Stateless 특징 때문에 웹 서버가 클라이언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쿠키(Cookie)가 탄생함 - Connectionelss : 하나의 요청에 하나의 응답을 한후 연결을 종료하는 것을 의미함 -> 새 요청이 있을 때 마다 항상 새로운 연결을 맺음 - Stateless: 통신이 끝나 후 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 것을 의마함 -> 이전 연결에서 사용한 데이터를 다른 연결에서 요구할 수 없음 쿠키는 클라이언트의 정보 기록과 상태 정보를 표현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Key-Value 형태의 값을 가짐 우리가 흔히 "다시 보지 않기", "7일간 표시하지 않기" 등의 팝업 창은 쿠키를 이용해서 해당 정보를 기록함 대부분의 웹 서버에서는 클라..
HTTP란 무엇인가?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al의 약자로 웹 상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HTTP 1.1 / 2.0 HTTP 1.1 : 연결당 하나의 요청과 응답을 처리함 -> 동시전송 문제와 다수의 리소스 처리 속도 느림 -> 성능 문제가 있음 응답도 느리고 속도도 느리고 용량도 크고 성능도 안 좋은 프로토콜이다. HTTP 2.0 : HTTP 1.1의 문제점을 해결한 업그레이된 프로토콜이다. 한 커넥션에서 여러 개의 메시지를 동시에 요청 응답 처리함, 문서상에 필요한 리소스를 클라이언트 요청 없이 보내줄 수 있음, Header 정보 압축 전송 등 여러 가지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속도와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다. 상태 코드 ..